사진크롭 뜻 사진크롭 방법
같은 사진이라도 크롭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달라집니다.
같은 사진이라도 어떤 부분을 트리밍(크로핑)하는지에 따라 인상이나 전달하는 정보가 달라집니다. 디자인의 내용이나 목적에 맞는 트리밍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진크롭 뜻
사진크롭은 사진의 일부를 잘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사진작가가 찍은 사진을 크롭 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디자인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진을 <독자에게 전하는 정보>의 일부로 다루면서 레이아웃 하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이렇게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사진크롭이란 사진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거나 사진에 포함된 정보를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같은 사진이라도 어떻게 크롭하느냐에 따라 독자들에게 전혀 다른 느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시 제품의 내용이나 목적에 따라 사진의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둘 것인지 판단하고 그에 맞게 크롭 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사진크롭 주의사항
사진을 어떻게 자르는지 고민할 때는 <이 제작물이 보는 사람에게 전달하려는 내용(목적)>이 무엇인지 미리 이해해야 합니다. 카피, 본문, 캡션 등의 원고가 있는 경우 먼저 내용을 확인하고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경우에는 전체 사진보다 전달하고 싶은 부분에만 레이아웃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진크롭 방법
사진크롭은 단순히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한 장의 사진을 목적에 따라 둘로 분할하거나 일부분을 잘라내는 작업을 하는 것도 사진크롭에 속합니다. 아래에서 동일한 사진을 사용한 여러 디자인 작업의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사진크롭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화면의 인상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시간 축이나 깊이의 연출
<공간을 살린 사진크롭>
사진크롭을 사용하면 미래를 떠올릴 수 있는 사진, 과거가 생각나게 하는 사진, 깊이감을 주는 사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트리밍에 의한 공간 연출
피사체를 사진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트리밍함으로써 공간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옆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사진과 같이 피사체가 방향성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피사체의 시선 앞에 여백을 남겨두면 피사체가 "미래"를 생각하고 있다는 인상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신 뒤쪽에 빈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과거를 회상하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눈앞에 빈 공간이 있을 때>
눈앞에 빈 공간을 남겨두면 공간이 확장된다. 사람들에게 미래를 바라보고 용기 있게 전진한다는 긍정적인 인상을 줍니다.
<눈앞 반대쪽에 공간을 비워둔 경우>
시선 반대편의 공간을 비워두면 시선 앞의 공간적 확장이 상실된다. 자신의 생각을 되돌아보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진행 방향 앞쪽 공간을 비워둔 경우>
방향 앞의 공간을 비워두면 속도감을 강조하고 공간에 깊이감을 만들어준다.
<진행 방향 반대쪽 공간을 비워둔 경우>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공간을 비워두면 공간의 확장성이 약화된다. 피사체가 부각되어 빠르게 다가오는 느낌을 주게 됩니다.
피사체의 사이즈
<전체 사진>을 사용하는지 <부분 사진>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같은 사진이라도 페이지의 느낌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독자들이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메인 사진의 크롭 방법을 고려합니다.
<피사체 전체를 보여줌>
사진 전체를 큰 사이즈로 사용함으로써 피사체의 '크기'나 '상황'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가 없고 깔끔한 인상을 줍니다.
<세부 사항을 강조>
부분 사진을 사용함으로 <소재의 상황>이나 <맛,식감>등의 디테일이 상조되기 때문에 감각적인 인상을 준다. 레이아웃에도 임팩트가 느껴진다.
페이스 비율
페이스 비율이란, 인물사진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사진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 <페이스 비율이 높다.> 페이스 비율이 높아지면 신뢰감, 지적, 야심 찬 인상을 준다. 페이스 비율이 낮아지면 육체적인 매력이 높아진다. 선거 포스터 등에서는 신뢰감이나 지적인 인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페이스 비율이 높은 사진을 자주 사용한다.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 표현방법 그라데이션 색의 명시성 (0) | 2024.03.09 |
---|---|
사진구도 정리 캔바 사진구도 정리 (0) | 2024.03.09 |
사진 레이아웃 프로그램 (0) | 2024.03.08 |
구스타프 클림트의 생애와 키스 해석 (0) | 2024.03.06 |
앙리 마티스 생애 작품 특징 (0) | 2024.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