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상회화 개념 추상회화 작가

크리에이터롬03 2024. 3. 4.

추상회화 개념

20세기 초기의 예술 흐름 중 하나인 추상회화는 선, 질감, 형태와 색상 등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표현을 시도한 예술입니다. 대상, 공간, 현실 세계의 재현을 회피하던 20세기 초반에 등장하여, 그 후 현대미술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 추상회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상회화 시작

추상미술의 역사는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의 토기 문양, 청동기 시대 거울의 뒷면, 암각화 등에서 볼 수 있듯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하는 표현양식이지만 이때의 추상은 상징과 주술적 기원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19세기까지 미술이란 회화의 경우 사실적 표사가 전제되야 하는 초상화, 정물화, 역사화, 풍속화를 의미했습니다. 20세기에 들어 서양에서 화가나 조각가들이 미술의 자율성과 정신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면서부터  추상회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추상회화 발전

추상회화의 발전은 기술적, 철학적, 사회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산업혁명과 함께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진이 등장하고 화가들은 현실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에서 벗어나며, 감정, 아이디어, 순수한 시각적 경험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합니다.

추상회화의 발전은 크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하나는 '표현주의'에서 비롯된 '비구상 추상'이며, 다른 하나는 '입체주의'에서 발전된 '기하학적 추상'입니다. '비구상 추상'은 감정 새로운 표현 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니체, 프로이트 등의 철학자들의 사상은 화가들에게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추상회화 작가

추상회화의 초기 주요 작가로는 바실리 칸딘스키, 카즈미르 말레비치, 피에트 몬드리안 등이 있습니다.

칸딘스키는 정신과 개인적인 표현을 강조하며, '기하학적 추상'은 더욱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추상회화의 주요 예술가들 중 한 명인 바실리 칸딘스키는 '첫 번째 추상 수채화'를 그려 추상회화의 세계로 데뷔하였습니다. 그는 음악과 색상 사이의 관계에 영감을 받아, '무의식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의 작품에서는 형태와 색상이 감정과 감각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추상회화의 시작과 초기 선구자 이미지
추상회화의 시작과 초기 선구자

 

 

반면에, 몬드리안은 '순수 추상화'를 추구하였으며, 그의 작품에서는 선과 색상이 엄격하게 조직되어 있습니다. 추상회화는 1940년대와 195색채 음악'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는 색상이 감정과 감각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법이었습니다.

몬드리안이 평생 추구한 그림의 세계는 결국 수직선과 수평을 기본으로 하였는데, 기울어진 사선이 우연성과 불안감 또는 긴장감을 조성하므로 불순물로 여겼으며, 생기를 나타내는 수직선과 평온함을 나타내는 수평선, 이 주선이 적절한 각도에서 서로 교차하면 '역동적인 평온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 양자 어느 것도 계승하지 않은 말레비치의 절대 추상회화가 있습니다.

1915년 말레비치는 '01.'이라는 전시회에 하얀 바탕 위에 검은 사각형 하나만 그린 그림을 출품한다. 어떠한 대상도 없는 비대상적 세계를 표현한 자신의 예술세계를 절대주의라 불렀으며, 이 시기부터 일정 기간 실제로 일련의 절대주의 연작을 그렸습니다. 말레비치의 추상은 모든 대상이 사라진 근원적인 무의 상태를 뜻한다.

 

또한, 네덜란드에서 1917년에 설립된 미술운동 '데 스틸' 그룹도 기하학적 형태와 기본 색상을 사용하여 균형과 순수성을 추구하였습니다. 그들의 작품은 간결하고 객관적인 표현을0년대에 미국에서 추상 표현주의의 형태로 재해석되었습니다. 이 기간의 화가들, 특히 잭슨 폴록과 윌렘 드쿠닝은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들의 작품에서는 대담한 브러시 워크와 독특한 색상 사용이 특징적입니다.

 

댓글